{{keywords>도쿠위키, 포맷팅 문법,작성, 구문, 문법, 플러그인, 위키문법, dokuwiki, syntax, plugin, editbox}}
====== 위키 작성 문법 ======
**홈페이지의 편집자를 위한 페이지**로 ''도쿠위키''를 이용해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문법을 정리해 놓은 페이지입니다.
**[[nme>|이곳]] nme.kr 홈페이지는 [[doku>|도쿠위키]] 엔진을 사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도쿠위키 사이트는 따로 글쓰기 박스에 사용하는 문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것은 html을 다룰 수 있는 정도의 사람이라면 정해진 코드 작성 규칙에 따라 문단을 꾸밀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그 용법을 정리, 수정, 업데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
[[doku>ko:wiki:syntax?s[]=문법|한글 번역된 원문링크]]가 있기는 하지만, 도쿠위키의 특성상 플러그인을 설치할 때마다 문법 구문이 더 추가가 되는만큼 기본 참고할 사항일 뿐입니다. 잘 정리가 되어 있고, 한글로 된 문서의 필요성을 느껴(번역체는 한계가 ;;; 그것도 구글 번역을 쓰게 되면 코드까지 같이 번역해 버리니;;;), 이곳 [[nme>위키문법]]을 작성, 업데이트를 해나가고 있습니다.
**도쿠위키 문법의 핵심은 기호들을 두 번 겹쳐서 쓰는 방식으로 단순화를 시켰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편집창에서 작성한 행 바꿈은 전혀 적용되지 않으며, 스페이스 바를 두번 입력한 것이나 스페이스 바 두 번 입력 이후의 - 나 * 은 "자동 넘버링 / 자동 문서 앞머리"가 입력되어 버리는 것을 알아두십시오.**
:bangbang: 키워드가 더 이상 검색에서 별 의미가 없다더라~
:!: 플러그인 추가 - 키워드입력 [[doku>plugin:keywords]] / **항목을 편집할 때 글 편집창의 맨 위에 적어놓는 것을 잊지말자!!!**
{{keywords>키워드추가,}}
==== 작성된 문서 수 파악 ====
:!: 플러그인 추가 - [[doku>plugin:numberof]]
** c%% |
| :memo: | %% |
| {{https://nme.kr/dw/lib/images/toolbar/anger.webp?nolink}} |
텍스트를 따옴표로 표시%% | | {{:wiki:add-button.png?15&nolink}} | | [[wiki:위키문법#버튼으로 꾸미기|버튼 생성]] | %%[[{}Wiki link|Button title]]%% | | {{:wiki:table.png?15&nolink}} | | 새 표 넣기 | %%^ ^ ^ | | |%% | | {{:wiki:add_table.png?15&nolink}} | | 박스패턴 선택 | [[wiki:위키문법#기본표와는 조금 다른 박스 형태]] | | {{:wiki:d.png?15&nolink}} | | 박스패턴 1 | %%{| |-! term || description |}%% | | {{:wiki:add_table.png?15&nolink}} | | 박스패턴 2 | %%{| style="" |+ table caption ! A1 ! B1 |-| A2 | B2 |}%% | | {{:wiki:picker.png?15&nolink}} | | 폰트 사이즈 | [[wiki:위키문법#글자 사이즈|글자 사이즈]] | | {{:wiki:hidden.png?15&nolink}} | | [[wiki:위키문법#내용접기|숨겨진 문단]] | %%
인용문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박스. 표와 달리 내부에 목록을 비롯한 다른 명령어 사용이 가능하다. * 예를 들면 목록이나 **글자속성** 같은 것들이 //가능하다//
인용문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박스. 표와 달리 내부에 목록을 비롯한 다른 명령어 사용이 가능하다. * 예를 들면 목록이나 **글자속성** 같은 것들이 //가능하다//==== 해석하지 않는 블록 ==== 문서에 해석하지 않는 블록을 넣으려면 최소한 2 이상의 빈칸을 맨 앞에 두거나 (스페이스 바 두 번) 혹은 ''<''code''>'' 또는 ''<''file''>'' 태그를 씁니다.
이것은 code를 입력해서 만든 공간입니다.
[[nme>|nme.kr]]
[[doku>|도쿠위키]]
[[namu>|나무위키]]
[[wp>|영문 위키피디아]]
[[wpko>|한국어 위키피디아]]
[[wich>|중국어 위키피디아]]
[[go>|구글검색]]
[[p>|영시와 시인 검색 / 아이콘만 사용]]
[[ko>|네이버 한국어 사전]]
[[en>|네이버 영어사전]]
[[een>|네이버 영어사전]]
[[han>|네이버 한자 사전]]
[[chn>|네이버 중국어 사전]]
[[jpn>|네이버 일본어 사전]]
[[th>|네이버 태국어 사전]]
[[fr>|네이버 프랑스어 사전]]
[[de>|네이버 독일어 사전]]
[[it>|네이버 이탈리아어 사전]]
[[es>|네이버 스페인어 사전]]
[[pt>|네이버 포르투갈어 사전]]
[[ind>|네이버 인도네시아어 사전]]
[[rus>|네이버 러시아어 사전]]
[[mn>|네이버 몽골어 사전]]
[[tk>|네이버 터키어 사전]]
[[ar>|네이버 아랍어 사전]]
[[la>|네이버 라틴어 사전]]
[[hel>|네이버 헬라어 사전]]
[[arch>|중국어 한자 사전]]
[[callto>|메일주소 연결]]
[[tel>|전화번호 연결]]
===== 아이콘 =====
[[nme>]] 사이트만의 아이콘을 편집하고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원래 기존 아이콘은 ([[https://emojipedia.org/|이모지피디아]]) 종류가 있는데, 추가하려면 :f: ''./lib/image/smiley'' 디렉토리에 그림을 넣고 :f:''conf/smileys.conf'' 파일을 수정해서 사용합니다. (명령어와 이미지 파일명을 잘 맞춰야 함)
++++현재 이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모티콘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이콘**
* :f: -> %%:f:%% 폴더
* :!: -> %%:!:%% 느낌표
* :cmt: -> %%:cmt:%% 코멘트
* :wr: -> %%:wr:%% 작성
**즐겨찾기 링크용**
* :n: -> %%:n:%% 네이버
* :t: -> %%:t:%% 티스토리
* :nblog: -> %%:nblog:%% 블로그
**언어**
* :ko: -> %%:ko:%% 한국어
* :eng: -> %%:eng:%% 영어
* :china: -> %%:china:%% 중국어
* :jp: -> %%:jp:%% 일본어
**각 나라 국기**
* :en: -> %%:en:%% 영국
* :de: -> %%:de:%% 독일
* :fr: -> %%:fr:%% 프랑스
* :it: -> %%:it:%% 이탈리아
* :es: -> %%:es:%% 스페인
* :pt: -> %%:pt:%% 포르투갈
* :tk: -> %%:tk:%% 터키
* :vt: -> %%:vt:%% 베트남
* :ind: -> %%:ind:%% 인도네시아
* :rus: -> %%:rus:%% 러시아
* :mn: -> %%:mn:%% 몽골
* :chn: -> %%:chn:%% 중국
* :jpn: -> %%:jpn:%% 일본
* :th: -> %%:th:%% 태국
* :sa: -> %%:sa:%% 사우디아라비아
* :yellow_heart: yellow_heart.webp
* :blue_heart: blue_heart.webp
* :purple_heart: purple_heart.webp
* :yellow_heart: yellow_heart.webp
* :blue_heart: blue_heart.webp
* :purple_heart: purple_heart.webp
* :heart: heart.webp
* :green_heart: green_heart.webp
* :broken_heart: broken_heart.webp
* :heartbeat: heartbeat.webp
* :heartpulse: heartpulse.webp
* :two_hearts: two_hearts.webp
* :revolving_hearts: revolving_hearts.webp
* :cupid: cupid.webp
* :sparkling_heart: sparkling_heart.webp
* :sparkles: sparkles.webp
* :star: star.webp
* :star2: star2.webp
* :dizzy: dizzy.webp
* :boom: boom.webp
* :collision: collision.webp
* :anger: anger.webp
* :exclamation: exclamation.webp
* :question: question.webp
* :grey_exclamation: grey_exclamation.webp
* :grey_question: grey_question.webp
* :zzz: zzz.webp
* :dash: dash.webp
* :sweat_drops: sweat_drops.webp
* :notes: notes.webp
* :musical_note: musical_note.webp
* :fire: fire.webp
----
* :memo: memo.webp
* :pencil: pencil.webp
* :book: book.webp
* :art: art.webp
----
* :warning: warning.webp
* :construction: construction.webp
----
* :kr: kr.webp
* :cn: cn.webp
* :us: us.webp
* :ru: ru.webp
* :gb: gb.webp
* :uk: uk.webp
----
* :one: one.webp
* :two: two.webp
* :three: three.webp
* :four: four.webp
* :five: five.webp
* :six: six.webp
* :seven: seven.webp
* :eight: eight.webp
* :nine: nine.webp
* :keycap_ten: keycap_ten.webp
* :1234: 1234.webp
* :zero: zero.webp
* :hash: hash.webp
* :symbols: symbols.webp
* :arrow_backward: arrow_backward.webp
* :arrow_down: arrow_down.webp
* :arrow_forward: arrow_forward.webp
* :arrow_left: arrow_left.webp
* :capital_abcd: capital_abcd.webp
* :abcd: abcd.webp
* :abc: abc.webp
* :arrow_lower_left: arrow_lower_left.webp
* :arrow_lower_right: arrow_lower_right.webp
* :arrow_right: arrow_right.webp
* :arrow_up: arrow_up.webp
* :arrow_upper_left: arrow_upper_left.webp
* :arrow_upper_right: arrow_upper_right.webp
* :arrow_double_down: arrow_double_down.webp
* :arrow_double_up: arrow_double_up.webp
* :arrow_down_small: arrow_down_small.webp
* :arrow_heading_down: arrow_heading_down.webp
* :arrow_heading_up: arrow_heading_up.webp
* :leftwards_arrow_with_hook: leftwards_arrow_with_hook.webp
* :arrow_right_hook: arrow_right_hook.webp
* :left_right_arrow: left_right_arrow.webp
* :arrow_up_down: arrow_up_down.webp
* :arrow_up_small: arrow_up_small.webp
* :arrows_clockwise: arrows_clockwise.webp
* :arrows_counterclockwise: arrows_counterclockwise.webp
* :rewind: rewind.webp
* :fast_forward: fast_forward.webp
* :information_source: information_source.webp
* :ok: ok.webp
* :twisted_rightwards_arrows: twisted_rightwards_arrows.webp
* :repeat: repeat.webp
* :repeat_one: repeat_one.webp
* :new: new.webp
* :top: top.webp
* :up: up.webp
* :cool: cool.webp
* :free: free.webp
* :ng: ng.webp
* :cinema: cinema.webp
* :koko: koko.webp
* :signal_strength: signal_strength.webp
----
* :heavy_dollar_sign: heavy_dollar_sign.webp
* :copyright: copyright.webp
* :registered: registered.webp
----
* :x: x.webp
* :heavy_exclamation_mark: heavy_exclamation_mark.webp
* :bangbang: bangbang.webp
* :interrobang: interrobang.webp
* :o: o.webp
* :heavy_multiplication_x: heavy_multiplication_x.webp
* :heavy_plus_sign: heavy_plus_sign.webp
* :heavy_minus_sign: heavy_minus_sign.webp
* :heavy_division_sign: heavy_division_sign.webp
* :white_flower: white_flower.webp
* :100: 100.webp
* :heavy_check_mark: heavy_check_mark.webp
* :ballot_box_with_check: ballot_box_with_check.webp
* :radio_button: radio_button.webp
* :link: link.webp
++++
===== 특수문자=====
[[nme>|]] 에서는 단순 문자를 특수문자로 바꿉니다. 인식하는 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 << -- --- 640x480 (c) (tm) (r)
"그는 생각하였다. '이것이야말로 남자들의 세계다'..."
-> <- <-> => <= <=> >> << -- --- 640x480 (c) (tm) (r)
"그는 생각하였다. '이것이야말로 남자들의 세계다'..."
주의: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이 기능을 끌 수 있습니다.
==== 특수 문자표 ====
글쓰기 박스에서 {{http://www.dokuwiki.org/lib/images/toolbar/chars.png?nolink}}를 눌렀을 때, 선택해서 삽입할 수 있는 특수문자표이다.
++++특수문자표 리스트|
/**
* The HelloWorldApp class implements an application that
* simply displays "Hello World!" to the standard output.
*/
class HelloWorld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Display the string.
}
}
현재 아래의 언어 구문이 지원됩니다: //actionscript, ada, apache, asm, asp, bash, caddcl, cadlisp, c, c_mac, cpp, csharp, css, delphi, html4strict, java, javascript, lisp, lua, nsis, objc, oobas, pascal, perl, php-brief, php, python, qbasic, smarty, sql, vb, vbnet, visualfoxpro, xml//
===== HTML 및 PHP 임베드 =====
다음과 같이 ''html'' 또는 ''php'' 태그를 이용하여 문서 내에 HTML 혹은 PHP 코드를 삽입합니다.
This is some HTML
This is some HTML
echo 'A logo generated by PHP:';
echo '
';
====== 제목 ====== 의 형태로 첫줄에 제목 넣는 것은 잊어서는 안된다.
넘기기 문서의 경우 독자적인 문서가 아닌 넘기기용 문서이기 때문에 이에대한 갯수 확인을 위해 태그 기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아래의 태그를 추가시켜주면 확인이 가능하다. 리다이렉트 문서를 작성할 때는 필수적으로 아래 내용을 리다이렉트 문서에 포함시키도록 하자.
{{tag>넘기기 리다이렉트}}
===== 구문 강조 =====
DokuWiki는 소스 코드에 구문 강조를 사용하여, 읽기 쉽게 할 수 있다.
DokuWiki는 일반적인 구문강조기 [[http://qbnz.com/highlighter/|GeSHi]]를 사용하고 있다. -GeSHi가 지원하는 어떤 언어라도 지원 가능하다. 문법은 전의 섹션내의 코드 블록과 같지만 사용되는 언어 이름을 ''
/**
* The HelloWorldApp class implements an application that
* simply displays "Hello World!" to the standard output.
*/
class HelloWorld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Display the string.
}
}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려면 ''